세무 회계30 법인 간주임대료 (법인세법, 조특법) 간주임대료는 부동산에 대한 보증금이 있을 경우 이자상당액에 대해서 세금을 내는 것으로 임대료(월세)는 아닌 보증금임대료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각 세법상 간주임대료를 계산하는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법인의 간주임대료는 제한적으로 익금산입하고 있습니다. ▶법인(차입금과다 부동산임대업) 장부기장 주택외부동산 간주임대료(조특령132조5항) 간주임대료 = (보증금등의 적수 - 임대용부동산의 건설비상당액의 적수) × [1/365(윤년366)] × 정기예금이자율 - 당해 사업연도의 임대사업부분에서 발생한 수입이자와 할인료ㆍ배당금ㆍ신주인수권처분익 및 유가증권처분익의 합계액 ▶법인(모든법인) 추계시 모든부동산 간주임대료(법령11조1호) 간주임대료 = {보증금등의 적수 × 1/365(윤년366)} × 정기예금이.. 2021. 11. 14. 소득세법상 간주임대료 간주임대료는 부동산에 대한 보증금이 있을 경우 이자상당액에 대해서 세금을 내는 것으로 임대료(월세)는 아닌 보증금임대료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각 세법상 간주임대료를 계산하는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은 소득세법상 간주임대료입니다. ▶소득세법(개인)상 장부기장 주택외부동산 간주임대료(소령53조3항2호) 간주임대료 = (보증금등의 적수 - 임대용부동산의 건설비 상당액의 적수) × 1/365(윤년366) × 정기예금이자율을 고려하여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이자율 - 해당 과세기간의 해당 임대사업부분에서 발생한 수입이자와 할인료 및 배당금의 합계액 ▶소득세법 (개인)상 장부기장 주택 간주임대료(소령53조3항1호) 간주임대료 = {해당 과세기간의 보증금등 - 3억원(*1)}의 적수 × 60/100 ×.. 2021. 11. 13. 임원 퇴직금 한도 임원은 많은 권한과 의사결정의 주체가 가능하므로 일반사원과는 세법상 차이를 둔 경우가 많습니다. 과도한 상여금과 퇴직금 등이 그러합니다. 임원의 퇴직금의 경우 2단계 구조로 보면 1단계는 법인세법으로 손금(세법상 비용) 인정되는지 안되는지(손금불산입) 2단계는 손금은 인정된 것 중 소득세법으로 세금이 상대적으로 적은 퇴직소득 또는 상대적으로 많은 근로소득으로 볼지 한도를 계산하여 구별하게 됩니다. 다음은 국세청 홈페이지의 임원 퇴직금에 대하여 도식화한 자료입니다. (하단 관련법령에 기재한 산식도도 법령에 있는 것보다 국세청에 있는 것을 한눈에 보기좋아 사용하였습니다.) [관련법령] ▶ 법인세법시행령 제44조 (퇴직급여의 손금불산입) ④ 법인이 임원에게 지급한 퇴직급여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2021. 11. 12. 간이지급명세서 중 -거주자의 사업소득(프리랜서3.3%) ▶예전에는 원천세관련 신고는 매달(반기) 원천세신고하고, 다음해 1년에 한번만 지급명세서를 제출하고 종료되었는데 7월부터는 간이지급명세서(사업소득)를 매달제출하게 되어 사실 조금 번거로워졌습니다. ▶ 원천세 신고는 다음달 10일까지, 간이지급명세서는 다음달 말일까지 입니다. 그렇지만 원천세 신고할때 매달10일 원천세신고, 간이지급명세서 제출 2가지를 같이 하면 놓치지 않을것 같습니다. ▣ 소득세법 제164조의3(간이지급명세서의 제출) ① 제2조에 따라 소득세 납세의무가 있는 개인에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소득을 국내에서 지급하는 자(생략)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간이지급명세서를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한까지 원천징수 관할 세무서장, 지방국세청장 또는 국세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021. 10. 23.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