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

개인 주택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주택 종합부동산세 ◎ 주택분 납세의무자 : 과세기준일 현재 보유한 전국합산 주택의 공시가격 합계액이 6억 원(1세대 1주택자 11억 원)을 초과하는 자 ◎ 과세기준일 : 매년 6월 1일 ◎ 납부기한 : 매년 12월 1일~12월 15일 ◎ 분납 : 납부할 세액이 250만원 초과(농특세 제외)시 납부기한 경과일로부터 6개월 이내 ※ 250만원 초과 500만원 미만 : 250만원 초과금액, 500만원 초과 : 50%이하 금액 ▶주택분 과세표준 : [{전체주택 공시가격 합× (1 - 감면율)} - 공제금액6억 원(11억 원)]× 공정시장가액비율95%* * 공정가액비율 95%(’21년), 100%(’22년 이후) ▶ 산출세액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공제할 재산세액 ※ 세부담 상한 : 일반주택 150%.. 2021. 11. 29.
부동산 임대, 부동산 전대 - 사업장 [부동산 임대업의 경우] ▶사업장은 부동산등기부상 소재지이므로 부동산소재지마다 사업자등록을 합니다. ※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11조(사업자등록 신청과 사업자등록증 발급) ① 법 제8조제1항에 따라 사업자등록을 하려는 사업자는 사업장마다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적은 사업자등록 신청서를 관할 세무서장이나 그 밖에 신청인의 편의에 따라 선택한 세무서장에게 제출(국세정보통신망에 의한 제출을 포함한다)해야 한다. 1. 사업자의 인적사항 2. 사업자등록 신청 사유 3. 사업 개시 연월일 또는 사업장 설치 착수 연월일 4. 그 밖의 참고 사항 ※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8조(사업장) ①법 제6조제2항에 따른 사업장의 범위는 다음 표와 같다. 15. 부동산임대업 사업장 : 부동산의 등기부상 소재지 [부동산 전대의 경우] ▶사.. 2021. 11. 27.
법인 간주임대료 (법인세법, 조특법) 간주임대료는 부동산에 대한 보증금이 있을 경우 이자상당액에 대해서 세금을 내는 것으로 임대료(월세)는 아닌 보증금임대료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각 세법상 간주임대료를 계산하는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법인의 간주임대료는 제한적으로 익금산입하고 있습니다. ▶법인(차입금과다 부동산임대업) 장부기장 주택외부동산 간주임대료(조특령132조5항) 간주임대료 = (보증금등의 적수 - 임대용부동산의 건설비상당액의 적수) × [1/365(윤년366)] × 정기예금이자율 - 당해 사업연도의 임대사업부분에서 발생한 수입이자와 할인료ㆍ배당금ㆍ신주인수권처분익 및 유가증권처분익의 합계액 ▶법인(모든법인) 추계시 모든부동산 간주임대료(법령11조1호) 간주임대료 = {보증금등의 적수 × 1/365(윤년366)} × 정기예금이.. 2021. 11. 14.
소득세법상 간주임대료 간주임대료는 부동산에 대한 보증금이 있을 경우 이자상당액에 대해서 세금을 내는 것으로 임대료(월세)는 아닌 보증금임대료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각 세법상 간주임대료를 계산하는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은 소득세법상 간주임대료입니다. ▶소득세법(개인)상 장부기장 주택외부동산 간주임대료(소령53조3항2호) 간주임대료 = (보증금등의 적수 - 임대용부동산의 건설비 상당액의 적수) × 1/365(윤년366) × 정기예금이자율을 고려하여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이자율 - 해당 과세기간의 해당 임대사업부분에서 발생한 수입이자와 할인료 및 배당금의 합계액 ▶소득세법 (개인)상 장부기장 주택 간주임대료(소령53조3항1호) 간주임대료 = {해당 과세기간의 보증금등 - 3억원(*1)}의 적수 × 60/100 ×.. 2021. 11. 13.